목차
우리가 앱 제작을 가지고 이야기할 때 보통은
"앱 그냥 만들지 구분하는게 있나요?"
라고 이야기할 것입니다.
하지만 앱을 개발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
방법에 따라 난이도도 틀리고 개발기간도 틀립니다.
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네이티브 앱
네이티브 앱 개발은 순수하게 기본적인 앱 개발 컴포넌트만으로 제작한 앱입니다.
아래에 설명하는 웹페이지로 이동하는 웹이 들어가지 않고 순수 앱으로 제작된 앱입니다.
셋 중에 가장 속도가 빠릅니다.(당연한 거겠죠?^^)
앱메이커의 기본적인 기능만 가지고 만든 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2. 웹앱
html로 구성된 앱입니다.(사실은 앱이라고 부르기는 힘듭니다.)
웹페이지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콘텐츠가 나오지 않습니다.
3. 하이브리드 앱
네이티브의 탈을 쓴 웹앱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하지만 네이티브의 탈을 썼다고 해서 웹페이지로만 구성되어 있으면 안됩니다.
(아이폰의 경우 심사가 까다로워 앱 등록 시 Reject 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)
앱메이커의 경우에는 WebViewer라는 컴포넌트가 있는데 이를 통해 외부 웹페이지를
불러들이는 코드가 있는 앱을 이런 앱을 하이브리드 앱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.
반응형
'코딩없는 앱 제작 > 코딩없는 앱 관련 소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어플만들기] 십자가의 길 어플을 출시하였습니다. - 카톨릭, 천주교 기도문 (0) | 2018.10.01 |
---|---|
수익형 앱 만들기 특강 진행 후기 (9/20, 홍대 소셜팩토리) (0) | 2018.09.21 |
2018년 8월부터 구글 플레이 출시 앱 제작 기준이 올라간다네요. (0) | 2018.07.27 |
전자책 사업보다는 앱 사업이 훨씬 낫네요. (0) | 2018.07.14 |
수익창출을 위해 블로그보다 안드로이드 어플만들기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하는 명확한 이유 (0) | 2018.07.13 |
댓글